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6)
1-3 수행시간의 점근표기법 자료구조 : (프로그램에서 저장하는 데이터에 대해 탐색, 삽입, 삭제 등의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일련의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들을 정돈해서 저장한 구성체이다. 추상데이터타입 :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대한 추상적인 연산들 - 구체적인 구현의 의미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 이 추상적인 데이터 타입을 구체적으롤 구현하는 것이 자료구조이다. 추상데이터타입 : 자바 인터페이스 (윤곽) 자료구조 : 자바 클래스 (구조) 수행시간 분석 효율성 측정하는 게 중요해 1. 시간복잡도 : 수행시간은 짧고 2. 공간복잡도 : 메모리 공간은 덜 사용하는 게 더 효율적인 알고리즘 대부분은 공간복잡도 말구 시간복잡도로 구성 시간복잡도 측정은 어떻게 할까? 직접 재?? NO 시간복잡도 : 알고리즘 실행 동안 사용된 기..
맥OS - VScode / Eclipse / AndroidStudio 단축키 정리 vscode 자동 정렬 ⌘ + K + F 터미널 창 clear ⌘ + K 터미널에서 node 빠져나가기 ^ + C
주석 정리 - 파이썬,리액트,HTML,오라클 한 줄 주석 여러 줄 주석 파이썬 # /// /// 자바 // /* */ 자바스크립트 // /* */ 리액트 // /* */ HTML 오라클 -- /* */
파이썬 기본 문법 - rjust(n) .center(n) .ljust(n) .rjust(n) - 전체 n 중 오른쪽 정렬 .center(n) - 전체 n 중 오른쪽 정렬 .ljust(n) - 전체 n 중 오른쪽 정렬 적용 예시. 백준 2439 # 단순한 풀이 T = int(input()) for i in range(1,T+1): print (" "*(T-i) + "*"*i) # 정렬방법 .rjust(n)사용 T = int(input()) for i in range(1,T+1): print (rjust("*"*i)) 근데 이거 결과는 잘 나오는 데 백준에 제출하면 에러나서 질문해 놓은 상태 답변오면 수정할 것!
파이썬 기본 문법 - sys.stdin.readline 본격적으로 for문 문제를 풀기 전에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입출력 방식이 느리면 여러 줄을 입력받거나 출력할 때 시간초과가 날 수 있다는 점이다. Python을 사용하고 있다면, input 대신 sys.stdin.readline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때는 맨 끝의 개행문자까지 같이 입력받기 때문에 문자열을 저장하고 싶을 경우 .rstrip()을 추가로 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입력과 출력 스트림은 별개이므로, 테스트케이스를 전부 입력받아서 저장한 뒤 전부 출력할 필요는 없다. 테스트케이스를 하나 받은 뒤 하나 출력해도 된다. rstrip을 하라는 건 문자열 자체를 변수에 저장하고 싶을 때 얘기지, 개행문자가 맨 끝에 들어와도 int 변환이나 split()을 그대로 할 수 있습니다. 즉 int(..
파이썬 기본 문법 - for문 for 문 기본 형태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튜플, 문자열) :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 >>> test_list = ['one', 'two', 'three'] >>> for i in test_list: ... print(i) ... one two three marks = [90, 25, 67, 45, 80] number = 0 for mark in marks: number = number +1 if mark > a = range(10) >>> a range(0, 10) for와 range 함수를 사용하면 1부터 10까지 더하는 것을 다음과 같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 add = 0 >>> for i in range(1, 11): ... add = add + i ... >>> p..
파이썬 기본 문법 - map과 input(), split() map(적용시킬 함수, 적용할 값들) map(f, iterable)은 함수(f)와 반복 가능한(iterable) 자료형을 입력으로 받는다. map은 입력받은 자료형의 각 요소를 함수 f가 수행한 결과를 묶어서 돌려주는 함수이다. >>> a = input().split() 10 20 (입력) >>> a ['10', '20'] >>> a = map(int, input().split()) 10 20 (입력) >>> a ['10', '20'] >>> list(a) [10,20] 활용 예시. Baekjoon10430 >>> A,B,C = map(int,input().split()) 5 8 4 (입력) >>>print(A) 5 >>>print(B) 8 >>>print(C) 4
파이썬 기본 문법 - 나눗셈 1. / 단순 나눗셈 5/3 = 1.6666666666666667 2. // 몫만 5//3 = 1 3. % 나머지만 5%3 = 2 4. divmod() 몫과 나머지 둘다 a = 5 b = 3 c, d = divmod(a, b) print("a 나누기 b의 몫:", c, "/ 나머지:", d) a 나누기 b의 몫: 1 / 나머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