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6)
창 제어 window.open window.close window.open 메소드는 새 창을 생성한다. 현대의 브라우저는 대부분 탭을 지원하기 때문에 window.open은 새 창을 만든다. 아래는 메소드의 예시이다. (close는 윈도우 창을 닫음) window.open 의 첫번째 인자는 열 파일을 의미하고, 두번째 인자는 열릴 창을 새로 만들것인지, 기존에 열려있던 창을 바꿀 것인지를 결정합니다. 세번재 인자를 넣게 되면, 새로 열리는 창이 탭의 형태가 아닌 팝업의 형태로 열리게 됩니다. 따라서 팝업의 크기를 정해주는 width와 height 속성이 들어가게 됩니다. resizable 은 팝업의 크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결정하는 속성입니다. _self : 현재 이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창 자..
Navigator 객체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크로스브라우징 다양한 브라우저들의 동작 방법은 W3C라는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html, css, 정의하고 ECMA라는 곳에서 javascript를 정의한다. 정의된 공통사항을 제외하고 브라우저들만에 특징이 따로 있기 때문에, javascript가 다르게 동작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브라우저의 종류 즉 버전혹은 제품명을 알아서 그 브라우저의 맞추어 코딩 하는 것이 좋다. 즉 브라우저마다 다르게 동작한다 라는 이슈를 "크로스 브라우징"이라고 한다. 이렇게 같은 기능을 다른 API를 써서 다르게 표시해야 하는 점 때문에 웹 개발자들의 반박은 심해졌고, 이를 맞추기 위해 웹 표준기구에서 정의를 내려주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각 벤더사들은 브라우저의 방법은 통일하고, 기능적으로 발전..
Location 객체 현재 윈도우의 문서가 위치하는 URL을 알아내는 방법 location.toString() location.href() * 크롬은 http://를 생략해 프로토콜 : host : 서비스를 식별하는 주소 port :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여러 소프트웨 어를 식별하는거 pathname : 웹서버 접속시 구체적인 정보 search : hash : http://opentutorials.org:80/module/1?id=1#hash protocol host port pathname search #hash opentutorials.org 오픈튜토리얼스 업데이트 opentutorials.org URl 변경하기
BOM BOM 이란? Browser Object Model 웹브라우저를 제어하기 위해서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객체들 js를 통해서 현재창에 열려있는 문서를 알아낸다거나의 등을 도와주는 거! 전역객체 Window? 어떤 변수가 함수에 속해있지 않으면 전역변수! 따라서 window는 전역변수 전역 변수 : 어떤 변수 영역 내에서도 접근 가능한 변수 지역 변수 : 변수 선언 영역만 접근 가능한 변수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 하기 1. alert -> 뭐 확인할 때 많이 써 (디버깅용도) but 디버깅하기엔 기다려야 하니까 console.log 사용 2. confirm -> 확인창 띄어주기 확인 누르면 true 취소 누르면 false 3.prompt -> 사용자한테 받아오기
Object Model 웹브라우저의 구성요소들은 하나하나가 객체화되어 있다. 자바스크립트로 이 객체를 제어해서 웹브라우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객체들은 서로 계층적인 관계로 구조화되어 있다. BOM과 DOM은 이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큰 틀의 분류라고 할 수 있다.이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출처 : http://learn.javascript.ru/browser-environment) 객체화? 브라우저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객체가 필요하고 객체를 만드는 주체는 웹브라우저가 만들고 js라는 언어를 통해 준비된 객체를 제어한다. window -> 1. 전역객체 2. window(frame)과 같은 것을 제어하는 객체 [ | | ] JSC BOM DOM [Window] DOM : document objec..
HTML에서 JavaScript 로드하기 JavaScript로 웹페이지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JavaScript를 로드해야 한다. onclick = "alert('Hello world')" HTML JavaScript 정보 + 제어 구분 >> 이걸 해결하는 것이 Script 태그 inline inline 방식은 태그에 직접 자바스크립트를 기술하는 방식이다. 장점은 태그에 연관된 스크립트가 분명하게 드러난다는 점이다. 하지만 정보와 제어가 섞여 있기 때문에 정보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 script html파일안에 를 쓰면 그 안의 코드는 js로 인식 >> 이렇게 하면 유지보수나 정보를 제어하는데 바람직해져 외부 파일로 분리 >> 유지보수의 편의성 : script 들어있는 html파일을 다 바꾸지 않아도돼 중복되는 js를 하나의 js로 빼므로써 브라..
MAC Sourcetree 설치 및 계정 연결 - organization 맥 소스트리 설치 및 계정 연결 1. 삭제 https://computer-science-student.tistory.com/349 [맥, Mac] SourceTree(소스트리) 제거 SourceTree(소스트리) 제거 1. 응용프로그램 목록에서 소스트리를 제거 2. ~Library/Application Support/SourceTree와 ~/Library/Preferences/com.torusknot.SourceTreeNotMAS.plist를 삭제 만일 터미널에서 제.. computer-science-student.tistory.com 2. 설치 https://www.sourcetreeapp.com/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A Git GUI th..
[MacOS - M1 HomeBrew 설치 해결] Warning: /opt/homebrew/bin is not in your PATH. 1.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Users/[user]/.zprofile 입력 2.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입력 3. brew --version 입력 -> 설치 확인 참고사이트 : https://taenami.tistory.com/119 [m1 homebrew 설치 Warning 해결] /opt/homebrew/bin is not in your PATH 이번에 새로산 m1 pro 에서 homebrew 설치하다 보면 Warning 이 나타났는데요. command에서 brew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간단하게 따라하면서 고쳐보겠습니다. Warning을 자세히 보면, Next Step..